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베트남여행
- 호치민 맛집
- 합정 맛집
- OS
- 호치민 무이네
- 니코호텔
- 포케맛집
- 합정맛집
- 혼공단 회고
- 무이네 사막투어
- 합정포케
- cs
- 혼공학습단
- 자료구조
- 무이네투어
- 혼공학습단12기
- 한빛미디어
- 혼공컴운
- 혼공컴운11기
- 반복 삭제
- 혼공네트
- 혼공네트3주차
- 호치민 여행
- 양꼬치
- 호치민여행
- 호치민
- 밤리단길 맛집
- 연어포케
- 핑크성당
- Docker
- Today
- Total
SangKins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5주차 본문
시작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것 같은 혼공학습단 12기도 얼추 75%를 넘겼다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는 이미 한번 읽었던 책이라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.
이번주에는 OSI 7계층 중 7계층에 해당하는 응용 계층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응용 계층의 첫번째 챕터는 DNS와 자원이다.
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주소 이외에 도메인 네임을 사용할 수 있다.
URL : 위치 기반의 식별자
URN : 이름 기반의 식별자
도메인 네임과 네임서버
도메인 네임과 IP는 네임서버에서 관리 (DNS 서버)
도메인 네임은 계층적으로 분류된다.
1. root 도메인
2. TLD 도메인
3. SLD 도메인
전체 주소 도메인 : FQDN
이렇게 계층적이고 분산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관리 체계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라고 한다.
계층적 네임 서버
도메인 네임 리졸빙
로컬 네임 서버 : 클라이언트와 맞닿아 있는 네임 서버
공개 DNS 서버 : 구글 8.8.8.8 , 클라우드 플레어 1.1.1.1 (ISP에서 할당하는 게 아님)
루트 네임 서버 : 질의에 대해 TLD 네임 서버 IP 반환
TLD 네임 서버 : 그 하위 반환
책임 네임 서버 : 특정 도메인 영역을 관리하는 서버 (naver, google, github...)
네임 서버는 DNS 레코드 타입이라고 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.
레코드 유형 | 설명 |
A | 특정 호스트에 대한 도메인 네임과 IPv4 주소와의 대응 관계 |
AAAA | 특정 호스트에 대한 도메인 네임과 IPv6 주소와의 대응 관계 |
CNAME | 호스트 네임에 대한 별칭 지정 |
NS | 특정 호스트의 IP 주소를 찾을 수 있는 네임 서버 |
MX | 해당 도메인과 연동되어 있는 메일 서버 |
도메인 네임 리졸빙 과정
- 재귀적 질의
- 반복적 질의
응답받은 결과를 임시로 저장 : DNS 캐시 (TTL 적용)
자원을 식별하는 URI
자원 : 네트워크상의 메시지를 통해 주고받는 대상.
- URI :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
- URI, URN: 위치, 이름으로 식별
URL
- scheme :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
- authority :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
- path : 자원이 위치한 경로
- query : 쿼리 parameter
- frament : 자원의 특정 조각을 지칭
URN
위치와 무관하게 자원을 식별할 수 있다. 널리 채택된 방식이 아님.
HTTP
응용 계층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
- 요청-응답 기반 프로토콜
- 미디어 독립적 프로토콜
- 스테이트리스 프로토콜
- 지속 연결 프로토콜
HTTP 메시지 구조
- 시작 라인(start-line)
- method(POST, GET...)
- request-target
- HTTP-version
응답인 경우
- status-line
- HTTP-version
- status code
- reason phrase
필드 라인
HTTP 헤더 (header-line)
- 헤더 이름
- 헤더 값
- 메시지 본문
HTTP 메서드: 다양한 종류가 있다 (POST, GET)
HTTP 상태코드 : 100 ~ 500까지 다양하다.
HTTP 헤더와 HTTP 기반 기술
HTTP 헤더
- Host
- User-Agent
- Referer
- Authorization
응답 시 활용되는 HTTP 헤더
- Server
- Allow
- Retry-after
- Location
- WWW-authenticate
요청과 응답 모두에서 활용되는 HTTP 헤더
- Date
- Connection
- Content-length
- Content-Type, Content-Language, Content-Encoding
캐시
불필요한 대역폭 낭비와 응답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사본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술
저장위치
웹 브라우저 : 개인 전용 캐시
서버 : 공용 캐시
쿠키
서버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되는 데이터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HTTP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
콘텐츠 협상과 표현
가장 적합한 형태의 자원을 제공하는 메커니즘 즉 같은 URI에 대해 가장 적합한 자원의 표현을 제공하는 메커니즘
http://www.example.com에서 루트 도메인은. TLD가 com
HTTP 상태코드 300은 리다이렉션 관련 상태 코드입니다.
'Dev > 혼공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6주차 & 회고 (0) | 2024.08.18 |
---|---|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4주차 (2) | 2024.07.24 |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3주차 (2) | 2024.07.16 |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2주차 (0) | 2024.07.10 |
[혼공학습단 12기]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- 1주차 (0) | 2024.07.02 |